6.25 전쟁, 미군 폭격에 의한 민간인 희생 사건 데이터를 분석해보며...
- Edu
- 2025. 3. 23.
최근 황현필 한국사 강사의 강의를 보다가 인상 깊은 내용을 접했습니다.
6.25 전쟁 당시 미군의 폭격으로 인해 발생한 민간인 희생 사건들을 다룬 강의였고, 영상 마지막 부분에 관련 사건 리스트들이 정리된 장면이 있었습니다. 순간적으로 화면을 캡처해 두었고, 이 데이터를 ChatGPT를 통해 간단히 분석해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평소 프로젝트나 교육을 준비하면서 데이터 분석 작업을 해오긴 했지만, 이번처럼 일상 속 이슈를 데이터를 통해 들여다보는 건 새로운 경험이었습니다. 특히 생성형 A.I 덕분에 분석 과정이 훨씬 간편하고 직관적으로 느껴졌습니다.
ChatGPT를 활용한 간단 분석
캡처한 사건 리스트에는 날짜, 지역, 희생자 수 등의 정보가 정리돼 있었습니다. 이 데이터를 정제해서 ChatGPT에 입력한 뒤, 전체 사건 수, 지역별 분포, 시기별 집중도 등을 분석해봤습니다.
간단한 통계지만, 생각보다 많은 통찰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 특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한 사건들
- 지역적으로 반복된 폭격 패턴
- 희생자 수의 규모별 분포
등을 통해 전쟁의 참상과 민간인 피해의 현실을 보다 객관적인 시선으로 마주할 수 있었습니다.
데이터는 기억을 돕는 또 다른 방식
이런 분석이 중요한 이유는, 단순히 숫자를 나열해서가 아니라, 그 숫자들이 말해주는 역사적 사실을 다시 바라보게 해준다는 점에 있습니다. 감정과 의견이 섞인 이야기만으로는 종종 왜곡되기 쉬운 주제들을, 데이터는 담담하게 보여줍니다.
무엇보다 생성형 A.I 덕분에 이런 분석 과정을 훨씬 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복잡한 도구 없이도 객관적인 시선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도 교육이나 콘텐츠 제작에 이런 접근이 유용하리라 생각됩니다.
한국전쟁기 미군 폭격 및 민간인 피해 사건 분석 리포트
* 데이터 수집 - 영상 캡처(황현칠 강사의 강의 영상 : https://youtu.be/_g77dpy4ktI?si=iktfcjbJF6CXE0Dv
* 데이터 정재 - ChatGPT 이용, 텍스트 추출 및 정형화
* 데이터 분석 - ChatGPT 4o 언어 모델 이용
* 데이터 재분석 및 리포트 작성 - ChatGPT o1 이용(시각화 제외)
* 리포트 작성 최종본 - https://bit.ly/4jbcT6z
ChatGPT - 한국전쟁 미군 폭격 분석
Shared via ChatGPT
chatgpt.com
마무리하며
역사는 기억의 싸움이라고 하죠.
하지만 그 기억을 숫자와 데이터로도 남길 수 있다면, 더 풍부하고 균형 잡힌 시선이 가능하지 않을까요?
이번 경험이 여러분에게도 작은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생성형 A.I를 단순한 도구 그 이상으로 활용해보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Edu'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ard for Educational Support - 01 (0) | 2025.03.31 |
---|---|
SLS(Software List Site; PDS) (0) | 2022.04.28 |
MS 윈도우 10 단축키 모음 (0) | 2020.04.26 |
갤럭시 노트(Galaxy Note)9에서 통화 중 녹음 설정 (0) | 2019.08.05 |
데이터 분석 사례를 위한 로또 회차별 당첨 번호. (0) | 2019.04.03 |